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The Spotless Mind
동양의 디자인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본문
디자인을 배우면서 느낀거지만 한글의 축소성에 다시한번 놀라지만 디자인을 하게되면 알파벳, 영어의 멋스러움을 포기하기 쉽지 않다. 요즘은 한글 폰트도 굉장히 세련되고 멋진게 많지만 말이다.
가끔, 외국의 여러나라의 디자인을 접할 기회들이 많은데 그중 중국의 예를 들면 굉장히 촌스러움을 느낄 때가 많다. 그 이유를 한문이라고 생각할 때가 많은데, 물론 그 한문으로 입이 떡~하니 벌어지는 디자인을 내놓고 디자인 시장에서 빼 놓수없는 곳이 중국과 홍콩이다.
요전에 본 디자이너인 베니 룩(BENNY LUK), 그가 중국인인지는 모르겠으나...
그의 홈페이지를 보았을 때 적지않은 충격이었다.
한문을 디지털적인 느낌으로 표현한걸 보았는데 세련되면서도 동양의 미가 느껴진다.

'serif'체이지만 고딕처럼 정돈 되어있고, 폰트의 끝 부분에서 동양의 느낌을 받을 수 있는게 잘 만들어진 타이포이다. 이외에도 그의 작업물을 보자.
로딩화면입니다. 구태의연하게 0~100%로 표현하는 방법을 벗어, 한문으로 로딩의 과정을 표현하는 것 같다. 비록 한문은 읽지 못해서 어떠한 방법으로 이야기하는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그의 선택에 박수를 쳐주고 싶다.

로고 타입이라고 하는데 뒷면이나 아래 작게 내이름 박아, 명함으로 사용해도 손색이 없을정도로 어플리케이션이 좋은 로고 같다. 특히, 저 파란색이 너무 마음에 든다. 그리고 저 여백의 미!

영어의 M자와 같이 사각형을 모두 채워운 한문들, 'sans-serif'체로 봐야되려나? 조형적인 요소가 멋지다.
색상이나 선에서 동양의 미를 잘 살려주고 있다. 세련되면서도 자극적인...
Computer arts의 표지 디자인

위에서 계속 얘기했지만 동.서양의 디자인을 잘 소화한 디자인... 우리나라도 서양의 디자인만을 바라보기 보다는 우리나라만의 미를 생각하고 살렸으면 한다. 기타 팬시, 디자인 소품들을보면 지극히 이국적인 느낌이 강하고 우리는 그것을 원하는 거 같다. 물론 본인도 그런 제품을 소유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지만, 디자이너라면 그럼 트랜드에 몰려다니기 보다는 다른 색을 찾아보려는 노력을 하면 어떨까 싶다. 아니, 노력에서 벗어나 그럴 필요가 있다.
최근들어 영화 포스터나 CI등 여러 분야에서 캘리그래피 열풍이라고 할정도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데 나중에 또 이야기 하겠지만, 좋은 시도라고 생각하고 이런 수요를 보면 충분히 경쟁력도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또, 이런 열풍에 휩슬려 시쳇말로 개나소나 다 캘리그래피를 찾는 거 같은데 발전은 좋지만 이런 남용은 지양해야합지 않을까 한다. 아직은 이런 움직으로 좋은 계기가 되겠지만 아직은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아무튼 이런식으로 진정한 한국의 미를 찾아서 소화시킨다면 우리나라에 가장 잘 맞는 디자인이고, 가장 세계적인 디자인이 아닐까 한다.
그가 27살이라는 소리를 들었는데 부럽다 -_ -.. 벡터이미지 방식을 선호하는 점이나, 자국의 문화를 사랑하는 것을...
그의 홈페이지 http://www.sixstation.com/ 에가면 좀 더 많은 정보와 작품을 보실 수 있어요.
가끔, 외국의 여러나라의 디자인을 접할 기회들이 많은데 그중 중국의 예를 들면 굉장히 촌스러움을 느낄 때가 많다. 그 이유를 한문이라고 생각할 때가 많은데, 물론 그 한문으로 입이 떡~하니 벌어지는 디자인을 내놓고 디자인 시장에서 빼 놓수없는 곳이 중국과 홍콩이다.
요전에 본 디자이너인 베니 룩(BENNY LUK), 그가 중국인인지는 모르겠으나...
그의 홈페이지를 보았을 때 적지않은 충격이었다.
한문을 디지털적인 느낌으로 표현한걸 보았는데 세련되면서도 동양의 미가 느껴진다.
그의 홈페이지중 한 페이지
'serif'체이지만 고딕처럼 정돈 되어있고, 폰트의 끝 부분에서 동양의 느낌을 받을 수 있는게 잘 만들어진 타이포이다. 이외에도 그의 작업물을 보자.
로딩과정을 한문으로 표현했다.
클릭하세요.
그의 홈페이지 http://www.sixstation.com/ 에가면 좀 더 많은 정보와 작품을 보실 수 있어요.
'OPEN YOUR EY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튜디오 지브리의 TV CF 하늘색 씨앗 (0) | 2006.08.13 |
---|---|
내 인생에 최고의 애니메이션. (24) | 2006.08.08 |
동양의 디자인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20) | 2006.08.08 |
iTunes + iPod TV Ad featuring Eminem (8) | 2006.08.07 |
세상에 똑같은 디자인이란 없다. FREITAG (18) | 2006.07.29 |
새마을 팝 운동展 다녀왔어요. (6) | 2006.07.28 |
20 Comments
-
라온수카이 2006.08.08 01:57 얼마나 연관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http://www.homebox-tm.com/2005homebox/lunchtime/lunchtime1.php 이 페이지도 도움이 되실 것같아서 남겨봅니다.
-
아리스노바 2006.08.08 01:59 사이트 연계해주는 곳이군요.
덕분에 좋은 사이트 더 구경하겠네요. -
서랍속의동화 2006.08.08 02:30 상당히 새롭네요.. 한문이 타이포그래피에 이용했을때 아름다울 거라고는 나름 생각해왔었지만..
실제로 보는건 처음이거든요.. 심플하면서도, 뭐랄까 단아하다고 해야하나...
어쨋든 잘 융화되는게 인상적이네요.. 좋은 포스팅 보고 갑니다 ^^ -
아리스노바 2006.08.08 09:54 그 '한문'만의 멋을 잘 살렸죠?
한글도 어서... 발전해야 할텐데 ^^;; -
scamp 2006.08.08 04:46 아오읍; 한문쓰고 싶어졌다 -_-
그나저나 오타 있어서 알려주려 했는데 메신저에 없구나
... -
아리스노바 2006.08.08 09:59 thank you
-
scamp 2006.08.08 04:48 영어의 M자와 같이 사각형을 모두 채워운 한문들, 'sna-serif'체로 봐야되려나? 조형적인 요소가 멋지다.
'sna-serif'-> sans serif
하지만 또, 이런 열품에 휩슬려 ->열풍에 휩쓸려 -
아리스노바 2006.08.08 09:52 고마워요.
고맙기가 서울역에 그지 없습니다.(당신 버전) -
aki-yoon 2006.08.08 05:51 홍콩이야 영어권이어서...근데 저도 중국은 좀 편견이 있었거든요. 디자인쪽에.
근데... 정말 아니란걸 느끼네요. 저. 위의 한문.. 정말 새롭고 신선하고 그러네요.
매번 일본의 타이포에만 감탄을 했었는데....(저야 이제 저런 타이포를 운운하는 것과는 상관없이
일들어오면 찍어내고 뽑아내고 별 생각없이 일하는 단순성 인간이 되어버렸지만..ㅠ.ㅠ ) -
아리스노바 2006.08.08 09:52 네, 일봄의 타이포도 대단하죠. 그 이유중에 캘리그라피의 힘이 있는 것도 같습니다.
aki-yoon 님은 출판쪽에 종사하시나 보군요?+_+ -
아담 2006.08.08 09:06 한문으로도 이런 타이포가 가능하네요^^
잘 봤습니다. -
아리스노바 2006.08.08 09:50 네, 자칫 촌스러워 질 수 있는 것을 멋드러지게 뽑아내서 눈알이 똥그래 졌었어요 하핫
-
dawnsea 2006.08.08 09:54 본 글이 올블 실시간 인기글에 있어서.. 부담스러워서 덧글 내렸는데요; 벌써 방문하셨더군요 ㅡ.ㅡ;
반갑습니다. ^^;
글 잘 봤습니다. ^^; -
아리스노바 2006.08.08 09:57 저도 방금 읽고 댓글 달려고 했는데
분명 댓글이 있었는데... ^^;;
방금 일어난지라 비몽사몽인지; 분명 링크는 탓는데 말이죠!
추가링크 고맙습니다. 덕분에 좋은글 읽었어요. -
와니 2006.08.09 00:45 멋지군요~
저도 디자인쪽에 관심이 많은 사람으로써
많이 배웁니다.
늘 저도 동양적인 디자인이 세계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어서 흐으 ^^ -
아리스노바 2006.08.09 03:02 마지막 말 저도 가슴에 품고 다녀요. :)
-
삽살 2006.08.09 13:31 좋은 포스팅 잘 봤습니다요>ㅁ<
거의 문외한이라 할 수 있을정도지만, 즐기는 건 꽤나 좋아해서^^;
동양미-를 나타내는 일러스트에 감탄한 건 여럿됐는데 한자는 정말 생소하네요 ㅎㅎㅎ
우리나라도 좀 더 분발해야겠어요 ㅎㅎㅎ -
아리스노바 2006.08.09 18:04 ^^ 칭찬 고맙습니다.
한문이 참 특이하면서도 그 맛을 잘 살렸죠.
우리나라도 좀더 창의적인 디자인이 나와야 할텐데...:) -
은외 2007.02.03 10:20 올블로그에서 왔습니다. 같은 동양권이지만 일본과 한국의 문자디자인은 큰 차이를 보이는것 같습니다. 일본은 예쁘고 화려하고 강렬한 폰트들을 많이 개발해서 자기들 글자를 예쁘게 쓰고 있는 반면에 한국은 좀 그렇지 못하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오히려 요즘엔 한글로 쓸 수 있는 것들도 쓸데없이 영어로 써서 예쁜 한글 디자인 폰트의 개발을 더욱 더디게 하는 것 같네요.
-
아리스노바 2007.02.05 06:07 신고 그나마 한글에 관한 관심이 많아지는 요즘 보기좋은 일도 많아지더군요. 우리가 한글을 보다 많이 소비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